안전관리 참고사항

[스크랩] 강관틀비계 작업계획서

원1004 2017. 9. 14. 17:21

 

첨부파일 □ 비계 설치 계획.hwp

 

 

강관(틀) 비계조립 작업계획서

무재해

 

 

 

 

 

 

0000 신축공사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00종합건설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비계 설치 계획

● 외부비계 설치계획

위 치

• 건물 외부

유해․위험요인

• 추락, 낙하 등의 재해

안 전 대 책

• 비계 설치기준 준수

- 강관 및 부속철물은 검정기준에 적합한 것을 사용

- 강관은 외력에 의한 균열, 뒤틀림 등의 변형이 없어야 하며 부식이없어야 함.

- 각부에는 깔판, 깔목 등을 설치하고 밑둥잡이 설치

- 비계 기둥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 1.5~1.8M, 장선 방향에서 1.5M 이하로 함.

- 지상으로부터 첫 번째 띠장은 1.8M 지점에 설치

- 비계 간격과 장선 간격은 각각 1.5M 이하로 설치

- 비계 기둥간의 적재하중은 400kg이하

- 벽면의 연결은 수직, 수평으로 5M이내에 설치

- 기둥간격 10M마다 45도 각도의 가새를 설치하고 가새에 접속되지 않는 기둥이 없도록 함.

- 박업발판에는 추락·낙하물 방지시설 설치(안전난간, 폭목등)

• 작업발판 설치 및 사용기준 준수

비계등의 설치시기

• 골조작업시

안전시설 존치기간

• 외부비계 해체 전

안전시설 설치수량

• 외부 추락방망, 낙하물방지망

• 외부 마감작업시 안전난간, 작업발판, 안전대 걸이시설

• 안전표지판의 설치

첨부도면 및 서류

• 외부비계등의 설치 상세도

기타 주의사항

• 안전담장자 지정, 배치

• 안전모, 안전대 등 개인보호구 착용 철저

• 해체시 안전벨트 사용

• 상하 동시 작업 금지

• 악천후시 작업 중지

• 하부 근로자를 위한 감시원 및 통제 조치

■ 비계 조립·해체시 안전대책

1) 안전담당자를 지정하여 안전담당자의 지휘하에 작업 실시

2) 안전모, 안전대 등 안전보호구의 착용

3) 재료, 기구, 공구 등에는 불량품이 없을 것

구 분

준 수 사 항

비 고

기 둥

• 띠장방향 간격 : 1.5~1.8m 이하

• 장선방향 간격 : 1.5 이하

띠 장

• 첫 번째 띠장 간격 : 2.0m 이하

• 띠장 간격 : 1.5m 이하

장 선

• 1.5m 이하

벽 연 결(Wale Tie)

• 수평·수직 5m 이내마다 설치

가 새

• 기둥간격 10m 마다 45도 각도로 처마방향 설치

• 비계 기둥과 띠장에 결속

• 가새 평행간격 10m

비 계 발 판

(작업발판)

• 목재 또는 합판 기설철물(안전발판) 설치

• 폭40cm 이상

• 안전난간 설치 (상부 90~120, 하부 45~60cm)

적 재 하 중

• 비계 기둥간 400kg이하

높 이 제 한

• 45m 이하

강 관 보 강

• 비계 기둥 최고부로부터 31m 지점 밑부분의

비계기둥은 2본의 강관으로 묶어 세울것

침 하 방 지

• 깔판, 받침목 및 밑둥잡이 설치

4) 조립, 변경, 해체의 시기, 범위, 순서등 작업내용을 사전에 작업자에게 알릴 것.

5) 추락 및 낙하물방지를 위해 작업발판을 견고히 설치하고 작업발판 부위에 안전난간을 설치하여 작업시 반드시 안전벨트를 착용후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.

6) 작업장 주변은 작업자 이외의 출입은 삼가고 안전표지 부착

7) 강풍, 호우, 폭설등 악천후시 작업중지

구 분

내 용

비 고

강 풍

10분간 평균 풍속이 10m/sec이상

강 우

1회 강우량이 50m/m이상

강 설

1회 강설량이 25cm이상

중진이상의 지진

진도 4이상의 지진

8) 악천후로 인한 작업중지후 또는 작업 조립, 해체, 변경후에는 작업전 점검 및 보수실시

9) 고소 작업시에는 안전망 등의 방호조치 및 안전대 사용

10) 상·하 동시 작업시 유도자를 배치하고 일정한 신호방법 준수

11) 재료, 기구, 공구 등을 올리고 내릴때 달줄 또는 달포대 사용

12) 부근 전력선에는 절연방호조치 및 단선 조치후 작업

13) 가설통로에 재료 등 통로 방해 적치물 방치 금지

14) 해체 작업시 해체 재료는 순서대로 정리정돈

■ 비계 설치작업도

운반

최하단브라켓

또는 깔판설치

수직 세우기

클램프 조임

-지게차 운반

* 자재결속철저

-T/C 양중

* 소형자재는 인양 BOX 또는 달포 대사용

-브라켓

*발코니용, 슬라브 형TYPE에 적합한 브라켓사용

-깔판

*장기하중에 견딜 수있는 양호한 재 료 사용

-수평길이를 감안하여 적정간격을 준 수

-4M, 6M와의 어긋 배치 준수

- 수직도 준수

-해체작업을 고려하 여 조임정도를 너 무 약하게 하는 행 위 절대금지

수평 세우기

수직 세우기

하부 핀연결

클램프 조임

수평 세우기

-핀이음부의 정착확인 철저

-코너구간에 대한 치수 부족등의 이유로 구간생략하는 행위 금지

-핀이음부의 정착

확인

-해체작업을 고려하 여 조임정도를 너 무 약하게 하는 행 위 절대금지

-핀이음부의 정착

확인 철저

-코너구간에 대한 치수 부족등의 이유로 구간생략하는 행위 금지

벽이음 철물

설 치

확인 및 종료

-수직수평 5M 간격을 기준

-거푸집설치층에는 임시보강을 인장재(철선)과 압축재(각재)를 이용하여 유동방지조치를 취할것

-각 코너부 조인트 누락여부

-클램프 체결 누락여부

-비계벽이음 및 최상단 임시보강상태

-비계상의 잔여 자재여부

-작업중 발생한 위험상황이나 불안전한 작업방법에 대한 작업지휘자의 개선 방안 지시

■ 외부 쌍줄비계 조립 작업시 위험요인 및 안전대책

작업 절차

위험 요인

안 전 작 업 방 법

1.운반,준비

-양중기,차량계기계 협착, 충돌, 전도 및 낙하물 위험

-작업방법 미숙자 무리한 작업 진행

-차량계 건설기계 유도신호수 배치

-개인보호구 지급 및 착용

-특별교육 실시(2시간) 및 관리감독자 배치

-단관파이프 및 부속철물은 검정품 사용

-양중기 인양하중 준수, 인양범위내 출입통제

-양중기 인양방법 준수

-적정한 작업인원 배치

2.밑받침 재료

설치

-비계 기초부실로 인한 붕괴, 전도위험

-상하 동시작업으로 낙하물 위험

-지반다짐 및 깔판, 깔목 설치

-상하동시 작업 금지

-밑둥잡이 설치

3.브라켓 설치

-미검정품 사용 및 구조물에 고정 불량으로 붕괴, 도괴위험

-검정품 여부 및 고정철물 상태 확인

-브라켓이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히 조임

-고임목을 설치하여 충격흡수

-설치간격 준수(1.5-1.8m)

4.수직 세우기

-보호구 미착용 추락

-출입금지 조치 미흡으로 낙하물 위험

-설치간격 미준수로 인한 추락,

-악천후시 작업중지 및 상하 동시작업 금지

-작업반경 내 관계근로자외 출입금지

-관리감독자(작업지휘자)배치

-비계기둥 간격 준수(보방향1.5-1.8m,간사이방향 0.9m)

-안전대 착용

5.수평 세우기

-비계전도 및 근로자 추락위험

-장선간격 1.5m 준수

-비계기둥과 띠장의 교차부에서는 비계기둥에 결속

-안전대 착용

6.클립조립

-연결불량으로 전도 붕괴, 추락위험

-비계간의 연결은 전용철물(검정품)사용, 철선 등 사용금지

-전용철물이 풀리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

7.수직 세우기

하부클립조립

-비계의 변형, 이탈, 침하 도괴 위험

-작업층의 외부비계는 밖으로 처지지 않오록 철선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고정

-비계상 가설재 과다 적지 금지(400kg 이내)

-가세는 기둥간격 10m마다 45도 각도로 걸쳐대고 비계기둥 및 띠장에 결속

8.벽이음 설치

-비계의 변형, 이탈, 침하 도괴 위험

-수직 5m, 수평 5m 간격으로 설치

-브라켓 설치 및 전용철물로 고정

-외부 마감작업시에는 구조물 내부에서 써포트를 설치하고 단과 파이프로 벽이음 보강 후 브라켓 벽이음 해체

■ 비계 해체작업 분해도

작업준비

최상단브라켓

해 체

수평재 해체

수직재 해체

-작업자 숙련정도에

따른 적정배치

-각 개인별 건강상태

-작업자 및 통제자에

대한 특별교육실시

-비계상에 자재나 공구

등의 적치여부 확인 및

제거

-벽이음재의 무리한 해체 금지

-무리한 힘으로 인해

몸의 중심을 잃지

않도록 주의

-무단 투하 금지

-수평재 분리시 핀의

낙하예방에 주의를

기할것

-무리한 힘으로 인해

몸의 중심을 잃지

않도록 주의

-무단 투하 금지

하부구간이동

수평재, 수직재

해 체

브라켓 해제

하부구간이동

-옆구간의 작업자와

동일한 작업 진행 실시

-무리한 힘으로 인해

몸의 중심을 잃지

않도록 주의

-무단 투하 금지

-벽이음재의 무리한

과해체 금지

-벽이음 해체전 보강

실시

-옆구간의 작업자와

동일한 작업진행 실시

-미숙련공과 숙련공의

작업진행속도가 맞지

않는 경우 미숙련공의

심리적 압박으로

서두르는 현상발생

(적정배치사항)

반 복

확인 및 종료

-구조물 단부 또는 경사

부위에 잔여 자재여부

확인

-작업중 발생한 위험

상황이나 불안전한

작업 방법에 대한

작업지휘자의 개선방안

지시

□ B/T 틀비계 설치 및 작업안전계획

● 틀비계 설치의 안전

위 치

현장내 전층(마감 및 설비 전기작업)

유해․위험요인

이동식비계 상부작업시 추락 또는 이동식비계 전도

안 전 대 책

이동식비계 상부 기성품 안전난간대 설치 - 폭목설치

이동식 2단 이상 조립시 전도방지장치(아우트리거)설치

구름바퀴 설치시 STOPPER설치 및 작동 확인한다.

안전시설 설치시기

이동식비계 조립설치시

안전시설 존치기간

이동식비계 해체시

기타 주의사항

이동식비계 상부에 탑승한채 이동금지한다.

이동식 비계

안전난간

설치상세도

이동식틀비계 투입계획

공 종

사용예정수량

투 입 시 기

비 고

철 근

2 조

형 틀

4 조

설 비

3 조

전 기

3 조

미 장

2 조

도 장

2 조

내 장

2 조

조 적

4 조

■ 틀비계 작업 안전

(가) 최상층 및 5개층 이내마다 띠장틀 등의 수평재를 설치 할 것.

(나) 보틀 및 내민틀은 수평가새 등에 의하여 옆 흔들림을 방지하는 조치를 할 것.

(다) 높이가 20m를 초과하는 때 및 중량물의 적재를 수반하는 작업을 하는 때에는 사용하는 주틀은 높이2m이하인 것으로 하고 주틀간의 간격은 1.8m이하로 할 것.

(라) 높이는 원칙적으로 45m를 초과하지 않을 것

(마) 벽이음 설치간격

(바) 벽이음이 인장재와 압축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장재와 압축재의 간격을 1m 이내로 할 것.

● 이동식 틀비계의 안전

■ 이동식 틀비계 설치기준

항 목

설 치 기 준

난 간 대 설 치

상부난간(90cm이상), 중간대(45cm)를 설치

작 업 발 판

작업상 전부분에 걸쳐 밀실하게 깔 것. 두께 3.5cm 이상

승 강 설 비

승강설비를 부착하여 사용

설 치

밑변 최소길이의 4배이하 높이로 설치

표 지 판

최대적재하중 및 사용책임자를 명시

바퀴구름방지장치

비계의 갑작스런 이동방지를 위해 굴름방지 장치 설치

폭 목

공구, 재료 등의 낙하방지를 위해 10cm높이로 설치

달 줄 사 용

재료, 공구 등을 올리거나 내릴 때는 포대 및 로우프를 사용

■ 이동식 틀비계 설치계획 - 전기 및 설비등의 작업시

□ 작업발판 사용 및 작업안전계획

● 작업발판

■ 작업발판(외부비계) 사용계획

위 치

외부비계. 옥탑

유해․위험요인

외부비계상에서 작업시 중심을 잃고 추락

안 전 대 책

외부비계상 작업발판 설치 및 난간대 설치

난간대 설치 곤란시는 수직방호망 설치

외부 비계상 작업시는 안전대를 사용후 작업

발판 재료 : 유공발판(기성제품 사용)

안전시설 설치시기

외부비계 위에서 작업 직전

안전시설 존치기간

외부비계 해체시

기타 주의사항

작업발판을 견고히 고정

안전난간 작업발판

설치상세도

■ 작업발판(기타작업) 사용계획

위 치

외벽작업, 철근조립, 거푸집 조립 해체시 작업발판 설치계획

유해․위험요인

외벽작업, 철근조립, 거푸집 조립 작업중 중심을 잃고 추락

안 전 대 책

작업발판, 안전난간 설치

- POST는 기성품 사용하고 난간대는 단관PIPE사용

(개소에 따라 조절식 난간대 사용)

- 난간대상에 위험표지판 부착

안전시설 설치시기

외벽작업, 철근조립, 거푸집 조립 해체시

안전시설 존치기간

위작업 종료시 해체

기타 주의사항

작업전 해당근로자 안전보호구 착용철저, 상하 동시작업 절대금지

낙하물 방지위한 (공구낙하방지) 폭목 및 공구함 등을 제작 설치한다.

작업발판 안전난간

설치상세도

(2) 표준설치도

■ 거푸집 조립작업

- 벽체 거푸집 설치작업시에는 반드시 안전한 작업발판을 설치후 작업실시

■ 거푸집조립 작업시 작업발판

가) 철근조립작업

① 얕은 기둥의 철근조립 ② 높은 기둥의 철근조립

- 말비계를 작업발판으로 사용 및 - 이동식비계를 작업발판으로 사용

안전대 착용 안전대 착용

- 전도 및 미끄럼방지 장치 설치 - 바퀴에 미끄럼방지장치 설치

- 승강설비 및 안전난간 설치

( 높이 2M 미만 기둥작업 ) (높이 2M 이상 기둥작업 )

③ 벽체철근조립

- 철근 조립시 반드시 안전한 작업발판을 설치후 작업실시

( 높이 2M 미만 벽체작업 )

출처 : 건축공간창조
글쓴이 : 푸른정원 원글보기
메모 :